[IT 알아보기]/IT 소식

[IT 소식] "치매와의 전쟁" AI 정확도 90% 넘어섰다

이호스트ICT 2022. 2. 2. 17:41

 

TREND & ISSUE

전조 증상 보여도 못 잡는 치매
AI, 뇌 구획 쪼개 발병 예측까지

국내선 AI 스타트업들 두각
8000명 데이터 녹여 정확도 상승

 

게티이미지뱅크.

치매 정복을 위한 인공지능(AI)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AI 기반 연구는 글로벌 단위로 가속화하는 분위기입니다. 국내에서는 스타트업들이 두각을 보이며 해외 진출을 타진하는 모습입니다. ‘침묵의 살인자’라는 치매의 새로운 진단 체계, AI는 어떤 혁신을 낳고 있는 것일까요?

최근 영국 엑서터대 연구진은 AI 기반 치매 진단에 대한 획기적 연구 결과를 내놨습니다. AI 시스템이 92% 확률로 2년 안에 치매에 걸릴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엑서터대는 미국의 1만 5300명가량 환자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했습니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알츠하이머관리센터(NACC)에 등록된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관련 내용은 미 의학협회 저널네트워크오픈(JNO)에 발표됐습니다.

치매는 ‘침묵의 살인자’로 불립니다.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이 3~5년인데, 이때 병원에 가더라도 늦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미리 알고 대비하기가 쉽지 않은 질병입니다. 일단 발병하고 나면 치료법이 뚜렷하지 않은 점도 변수입니다. 10년 가까이 치매로 고생하다 결국 가족의 얼굴을 잃어버리는 안타까운 사연도 부지기수입니다.

AI는 복잡한 뇌 영상 데이터와 구조 변화를 학습해 잡아낼 수 있습니다. 사람이 육안으로 판별해내기 힘든 영역까지 단시간에 분석합니다. 엑서터대 연구팀은 기존 치·매 진단의 약 8%가 오진으로 나타난다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데이터를 먹고 자란 AI가 내린 판단입니다. 결국 치매 진단은 인간의 분석으로는 정확도를 담보하기 쉽지 않은 분야였던 셈입니다.

일본에서는 AI로 말투를 분석해 치매를 진단하는 시스템도 있습니다. 일본 AI 업체 ‘프론테오’는 환자가 하는 말을 AI로 분석해 치매 여부를 판정합니다. 5분 남짓 대화로도 1분 이내 치매 판정이 가능하며, 정확도는 85%에 이른다는 설명입니다.

뉴로핏 뇌영상 분석 솔루션 구동 장면 일부.

글로벌에서 연구가 집중되는 가운데, 국내 스타트업은 이 분야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창업주가 AI 기반 치매 진단에 총력을 쏟아붓고 있는 ‘뉴로핏’이 대표적입니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의 창업 계기는 남다릅니다. “할머니가 10년 동안 치매로 고통을 겪었다”는 게 그의 이야기였습니다.

뉴로핏은 AI로 1분 만에 97개 뇌 영역을 쪼개서 변화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뇌 부피나 두께를 1㎜ 단위로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치매뿐만 아니라 퇴행성 뇌질환이나 비정상적 위축을 모두 잡아낼 수 있습니다. 치매 단계를 표준화하고, 이를 글로벌 업계에서 인정받는 것은 AI와 뉴로핏이 이뤄내고자 하는 목표입니다.

스타트업 뉴로젠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을 통해 8000명의 치매 추적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뉴로젠은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지목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AI가 탐색하게끔 솔루션의 알고리즘을 짰습니다. 이런 개발 지향점을 녹여낸 솔루션 ‘뉴로에이아이’는 올해 하반기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시은 IT과학부 기자

원문: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120092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