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알아보기]/IT 소식

[이호스트IDC] VLAN 설정하기 (1)

이호스트ICT 2013. 10. 28. 10:55

VLAN 설정하기

 

다음 화면은 시스코 카탈리스트 2950 스위치는 24개의 FastEthernet 포트와 2개의 Gigabit 포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VLAN 10 해당하는 디바이스는 Fa 0/1 0/2 접속되어 있고 VLAN 20 해당하는 디바이스는 Fa 0/3 0/4 접속되어 있습니다.  

스위치 포트에 접속된 PC들을 위와 같이 VLAN으로 나누기 위해서 먼저 VLAN 생성하고 해당 포트에 VLAN 할당해야 합니다. 

 

 


 

 

다음 예제는 스위치에 VLAN 생성하는 절차입니다.  

 

 

 

 

VLAN 확인하기  

다음은 VLAN 구성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VLAN 10 VLAN 20 생성된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VLAN 멤버쉽 모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있습니다 

첫번째는 스위치가 VLAN 결정하는 액세스 모드로서 스위치에 접속된 디바이스는 VLAN 정보를 취급하지 않고 스위치가 포트 또는 MAC주소 별로 VLAN ID 할당합니다. , 스위치가 포트와 MAC주소별로 VLAN 할당할 있습니다.  

두번째는 스위치에 접속된 디바이스가 VLAN ID 전달하여 VLAN 결정하는 방식으로 트렁크 모드라고 합니다. 트렁크 모드는 IEEE 802.1Q ISL 방식이 있습니다.  

트렁크 모드로 설정된 포트로서 VLAN ID 나타내는 태그(Tag) 삽입하거나 인캡슐화하여 프레임을 전달하기 때문에 프레임을 수신한 스위치에서는 태그의 VLAN ID 따라 VLAN 할당해줍니다.

먼저 액세스 모드의 VLAN 멤버쉽 부터 자세히 공부하겠습니다.

액세스 모드는 다시 스위치 포트에 VLAN ID 할당하는 포트 기반 VLAN (Static VLAN) MAC 기반 VLAN(Dynamic VLAN)으로 나누어 집니다.

 

 


 

 

ehostidc by C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