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리눅스 한글 깨지는 문제에 대해 검색해보면
i18n 파일의 내용을 바꾸는 방법이 많이 소개되는데요.
이 방법으로 해결이 안된다면 원격접속 프로그램 설정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Putty 프로그램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http://www.ehostidc.co.kr/gnuboard4/data/cheditor4/1310/UumX84u5LKCyUr6WyD62CUlZJAem.png)
한글 부분이 위와같이 깨집니다.
![](http://www.ehostidc.co.kr/gnuboard4/data/cheditor4/1310/ZgyU9hvXiLoE.png)
Configuration에서 Window-Translation을 봅니다.
![](http://www.ehostidc.co.kr/gnuboard4/data/cheditor4/1310/hVyI5R5PU1LcOYdPXRrecQ5WHdIUioK9.png)
Remote character set 을 UTF-8로 바꾸어줍니다.
꼭 UTF-8이 아니라, 해당 서버의 i18n설정에 맞게 바꿔주면 됩니다.
Putty 뿐 아니라 SecureCRT 등 다른 프로그램에도 이 같은 설정 부분이 있습니다.
![](http://www.ehostidc.co.kr/gnuboard4/data/cheditor4/1310/YN3zmAljqGep2S.png)
설정 변경 후 한글이 제대로 출력됩니다.
LMK
'[IT 알아보기] >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호스트IDC] VLAN 설정하기 (1) (0) | 2013.10.28 |
---|---|
[이호스트IDC] UTP Cable 종류와 특징 (0) | 2013.10.21 |
[이호스트 IDC] VLAN 개요 (0) | 2013.09.30 |
[이호스트IDC] 리눅스 시스템 사양 확인 (0) | 2013.09.25 |
시간동기화 (0) | 201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