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호스트데이터센터 지게꾼입니다.
12월달 MS(Microsoft) 보안 업데이트가 발표되어서 공지드립니다. ^^
날씨가 많이 추워서 웅크리고 있었는데 다시 Techincal 포스팅을 해야겠네요~~
개요
- 발표일 : 2014. 12. 10 (수)
- 등급 : 긴급(Critical) 3종, 중요(Important) 4종
- 특이사항 : 12월 보안 업데이트 7종 중 긴급은 3 종임
주요내용
[MS14-075]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URL을 클릭하여 대상 Outlook Web App 사이트로 유인되는 경우 권한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Outlook Web App 토큰 스푸핑 취약점 – (CVE-2014-6319)
- 다중 OWA XSS 취약점 - (CVE-2014-6325, CVE-2014-6326)
- Exchange URL 리다이렉션 취약점 – (CVE-2014-6336)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75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75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0]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
o 사용자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 – (CVE-2014-6327, CVE-2014-6329, CVE-2014-6330, CVE-2014-6366,
CVE-2014-6369, CVE-2014-6373, CVE-2014-6374, CVE-2014-6375, CVE-2014-6376, CVE-2014-8966)
- Internet Explorer의 다중 XSS 필터 우회 취약점 - (CVE-2014-6328, CVE-2014-6365)
- Internet Explorer ASLR 우회 취약성 - (CVE-2014-6368)
- VBScript 메모리 손상 취약점 - (CVE-2014-6363)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0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0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1] Microsoft Word 및 Microsoft Office Web App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Microsoft Word 파일을 열람하거나 미리 보기를 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잘못된 인덱스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 (CVE-2014-6356)
- Use-After-Free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 (CVE-2014-6357)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1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1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2]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파일을 열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Office 컴포넌트 Use-After-Free 취약점 – (CVE-2014-6364)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중요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2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2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3] 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Excel 파일을 열람하거나 미리보기를 할 경우 취약점으로 인해 원격코드 실행이 허용
될 수 있음
o 관련취약점 :
- Excel Global Fre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4-6360)
- Excel 잘못된 포인터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4-6361)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중요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3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3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4] VBScript 스크립팅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VBScript 메모리 손상 취약점 – (CVE-2014-6363)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4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4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MS14-085] Microsoft 그래픽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정보를 공개
□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JPEG 콘텐츠가 포함된 웹사이트로 이동할 경우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그래픽 구성 요소 정보 유출 취약점 – (CVE-2014-6355)
o 영향 : 정보유출
o 중요도 : 중요
□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4-085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4-085
□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 귀사의 서버에 보안침해를 경험하셨거나, 보안취약점 점검을 받아보시고자 하시는
고객사는(이호스트IDC 고객을 포함한 외부의 모든 웹서버 고객대상)
언제든지 전화 및 메일주시면 보안취약성 점검을 통한 보안레포트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보안취약성 점검을 위한 무상장비는 : 웹방화벽, IPS 무상 지원해드립니다.
보안 기술 컨설팅 : 070-7600-5513 / request@ehostidc.co.kr
'[IT 알아보기] > 보안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호스트IDC, NTP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5.01.07 |
---|---|
EhostiDC. [보안이슈] 디도스 관점에서 정리하는 2014년. (0) | 2014.12.15 |
CISCO ASA 소프트웨어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4.11.14 |
EhostiDC. Apple (iOS, Apple TV)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4.10.22 |
EhostiDC.OpenSSL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이호스트데이터센터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