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etc/default/useradd
GROUP=100 <= 기본 그룹을 설정한다.
HOME=/home <= useradd 시 생성되는 디렉토리의 root 값을 지정한다.
INACTIVE=-1
EXPIRE= <= 아이디 만료 시각을 지정한다.
SHELL=/bin/bash <= 쉘 타입을 지정한다. /bin/bash, /bin/false, /sbin/nologin 등이 있다.
SKEL=/etc/skel <= 유저 생성시 끌고갈 기본 파일들이 저장된 곳이다.
CREATE_MAIL_SPOOL=yes <= 메일 생성 여부다.
<사용법>
1. 새로 생성한 계정의 홈디렉토리를 /home 에서 /home1 으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etc/default/useradd 파일의 HOME=/home 부분을 HOME=/home1 으로 변경해 주면 된다.
/etc/default/useradd 파일의 HOME=/home 부분을 HOME=/home1 으로 변경해 주면 된다.
2. /etc/skel 디렉토리에 public_html 디렉토리를 생성해주면, 계정 생성시 자동으로 public_html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이호스트 데이터센터 운영팀 : http://www.ehostidc.co.kr
'[IT 알아보기] >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정보 확인 (0) | 2012.07.12 |
---|---|
이호스트 IDC, DDOS& Syn_flooding 공격 방어 커널 옵션값 설정 (0) | 2012.07.06 |
이호스트 IDC, 윈도우 심볼릭 링크 (0) | 2012.06.29 |
windows server 2003 프로그램 추가/제거 시 오류 - wbemupgd.dll (0) | 2012.06.28 |
이호스트 IDC, /etc/hosts.allow, /etc/hosts.deny 이용한 접근제어 (0) | 201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