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 - Graphic User Interface
- 그림으로써 사람들이 보고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 ex) Windows
*CUI - Console User Interface
- 순수하게 글자로만 (ASCII Code)이용하여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 ex> DOS
최초 부팅시 Username: 뜨는 화면이 GUI 이고 여기서 Ctrl+Alt+Shift+F1 키를 입력하면 CUI 환경으로 이동한다. CUI로 실습을 하므로 CUI환경으로 이동하여, root 계정과 암호를 입력하여 들어간다.
Linux에서 root는 '관리자'의 개념이다.
GUI 사용시 램 사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CUI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시스템상 효율적이다.
*GUI->CUI
Ctrl + Alt + Shift + F1~F6(6개의 창이 존재, vmware상에서는 shift가 필요)
*CUI->CUI
Alt + F1~F6(6개 창간 이동)
*CUI->GUI
Alt + F7 또는 startx
출처 : http://blog.daum.net/computernala/56FirefoxHTML%5CShell%5COpen%5CCommand
이호스트 데이터센터 운영팀 : http://www.ehostidc.co.kr
'[IT 알아보기] >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호스트 IDC, FreeBSD 9.0-설치 메뉴얼 (0) | 2012.06.25 |
---|---|
이호스트 IDC, FreeBSD 9.0-네트워크 설정 (0) | 2012.06.25 |
이호스트 IDC, linux - Apache 설치 (0) | 2012.06.20 |
이호스트 IDC, 비정상 네트워크 연결 확인 (0) | 2012.06.19 |
이호스트 IDC, Apache DSO 와 Static의 차이 (0) | 201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