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fileserver]# vi /etc/rsyncd.conf
위 내용을 간단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backup] : 백업대상 이름
path : 공유할 디렉터리
comment : 설명
uid : 유저 ID
gid : 그룹 ID
use chroot : 상기에 지정한 path를 루트 디렉터리로 사용할 것인지 설정
read only : 읽기전용 설정
host allow : 접근 가능한 호스트 설정
max connection : 최대 연결 가능한 커넥션
timeout : 타임아웃 시간 설정
이것으로 파일서버의 설정이 모두 끝이났다.
이제 백업서버(192.168.128.101)로 이동하여 백업을 진행해 보겠다.
백업서버에서는 아무런 설정이 필요없다. 아래와 같이 명령만 실행하면 된다.
백업 될 디렉터리는 backuptest 로 임의로 설정하였다.
[root@fileserver]# rsync -avz --delete 192.162.128.102::backup /backuptest
옵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더 다양한 옵션들이 있으나,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a : archive mode - 심볼릭 링크, 퍼미션, 속성, 소유권 등을 보존
v : verbose - 상세설명
z : compress - 파일압축
--delete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더이상 원본에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백업서버에서 제거
192.168.128.102::backup : 파일서버 IP의 rsyncd.conf에 등록된 백업대상
/backuptest : 백업서버에 저장할 위치
출처 : http://l2j.co.kr/2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