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총 11종) o 등급 : 긴급(Critical) 6 종, 중요(Important) 5 종 o 발표일 : 2019.10.9.(수) o 업데이트 내용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 - 영문 :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 1.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060,CVE-2019-1335,CVE-2019-1358,CVE-2019-1359,CVE-2019-1366)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5,CVE-2019-1316,CVE-2019-1319,CVE-2019-1320,CVE-2019-1321,CVE-2019-1322,CVE-2019-1336,CVE-2019-1339,CVE-2019-1340,CVE-2019-1342,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17,CVE-2019-1326,CVE-2019-1343)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36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230,CVE-2019-1334,CVE-2019-1337,CVE-2019-1344,CVE-2019-1345)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0608,CVE-2019-1318,CVE-2019-135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9998, 4520011, 4520010, 4520004, 4520008, 4519338, 451738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 Windows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060,CVE-2019-1358,CVE-2019-135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5,CVE-2019-1319,CVE-2019-1339,CVE-2019-1342,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43,CVE-2019-1346)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44)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131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20005, 4519990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060,CVE-2019-1358,CVE-2019-135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5,CVE-2019-1319,CVE-2019-1339,CVE-2019-1342,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43)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44)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131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20007, 451998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 Windows RT 8.1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060,CVE-2019-1358,CVE-2019-135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5,CVE-2019-1319,CVE-2019-1339,CVE-2019-1342,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43)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34,CVE-2019-1344)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131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2000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358,CVE-2019-135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5,CVE-2019-1319,CVE-2019-1339,CVE-2019-1342,CVE-2019-1362,CVE-2019-1364,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46)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33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44,CVE-2019-1361,CVE-2019-1363)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131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19976, 452000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358,CVE-2019-135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1319,CVE-2019-1339,CVE-2019-1362,CVE-2019-1364,CVE-2019-1365)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1346)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133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44) - 스푸핑 취약점(CVE-2019-1166) - DID 취약점(CVE-2019-1318)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520002, 452000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238,CVE-2019-1367,CVE-2019-1371) - DID 취약점(CVE-2019-0608,CVE-2019-135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519976, 4519974, 4520005, 4519974, 4519998, 4520011, 4520010, 4520004, 4520008, 4519338, 4517389, 4520007, 4519974, 4520002, 451997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 ChakraCore :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Cloud, 게임엔진,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335,CVE-2019-1366)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132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84130, 4484112, 448412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보안 강화 업데이트 o 관련취약점 : - DID 취약점(CVE-2019-1070) o 영향 : DID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84122, 448411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1. SQL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의 미흡한 설계(적절한 검증 부재)를 악용하여 제한된 자원에 접근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1376) o 영향 : 정보노출 o 중요도 : 중요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
'[IT 알아보기] > 보안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틀라시안 지라(Jira) 정보 노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10.23 |
---|---|
넷사랑 XFTP Client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10.23 |
Cisco 제품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10.04 |
MS 인터넷익스플로러 긴급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09.30 |
아이폰 계정 탈취 스미싱 문자 주의 권고 (0) | 2019.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