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총 15종)
o 등급 : 긴급(Critical) 9 종, 중요(Important) 6 종
o 발표일 : 2019.5.15.(수)
o 업데이트 내용
제품군 | 중요도 | 영향 | KB번호 |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4440 등 7개 |
Windows 8.1, Server 2012 R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9151 등 2개 |
Windows Server 201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9171 등 2개 |
Windows RT 8.1 | 중요 | 원격코드실행 | 4499151 |
Windows 7, Server 2008 R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9164 등 2개 |
Windows Server 2008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9149 등 2개 |
Internet Explorer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9167 등 15개 |
ChakraCore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 |
Office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64561 등 5개 |
Visual Studio | 중요 | 권한상승 | 4489639 |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 중요 | 원격코드실행 | 4464564 등 4개 |
Skype | 중요 | 정보노출 | - |
ASP.NET Core, .NET Core | 중요 | 서비스거부 | 4499409 등 19개 |
Team Foundation Server | 중요 | 스푸핑 | - |
Adobe Flash Player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497932 |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
- 영문 :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
1.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884,CVE-2019-0885,CVE-2019-0889,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CVE-2019-0912,CVE-2019-0913,CVE-2019-0914,CVE-2019-0915,CVE-2019-0916,CVE-2019-0917,CVE-2019-0923,CVE-2019-0924,CVE-2019-0925,CVE-2019-0926,CVE-2019-0927,CVE-2019-0933,CVE-2019-0937,CVE-2019-0940)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07,CVE-2019-0727,CVE-2019-0734,CVE-2019-0863,CVE-2019-0881,CVE-2019-0892,CVE-2019-0931,CVE-2019-0938,CVE-2019-0942)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0733)
- 정보노출 취약점(ADV190013,CVE-2019-0758,CVE-2019-0882,CVE-2019-0886,CVE-2019-0961)
- DID 취약점(CVE-2019-0872)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4440, 4499154, 4499181, 4499179, 4499167, 4494441, 449793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 Windows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25,CVE-2019-0885,CVE-2019-0889,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CVE-2019-0902)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07,CVE-2019-0734,CVE-2019-0863,CVE-2019-0881)
- 정보노출 취약점(ADV190013,CVE-2019-0758,CVE-2019-0882,CVE-2019-096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9151, 449916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25,CVE-2019-0885,CVE-2019-0889,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07,CVE-2019-0734,CVE-2019-0863,CVE-2019-0881)
- 정보노출 취약점(ADV190013,CVE-2019-0758,CVE-2019-0882,CVE-2019-096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9171, 4499158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 Windows RT 8.1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885,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07,CVE-2019-0734,CVE-2019-0863,CVE-2019-088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0882,CVE-2019-096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9915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08,CVE-2019-0725,CVE-2019-0885,CVE-2019-0889,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CVE-2019-0902)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34,CVE-2019-0863,CVE-2019-0881)
- 정보노출 취약점(ADV190013,CVE-2019-0758,CVE-2019-0882,CVE-2019-096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9164, 449917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708,CVE-2019-0885,CVE-2019-0889,CVE-2019-0890,CVE-2019-0891,CVE-2019-0895,CVE-2019-0896,CVE-2019-0897,CVE-2019-0898,CVE-2019-0899,CVE-2019-0900,CVE-2019-0901,CVE-2019-0902)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34,CVE-2019-088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0758,CVE-2019-0882,CVE-2019-096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9149, 4499180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884,CVE-2019-0911,CVE-2019-0929,CVE-2019-0940)
-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CVE-2019-0995)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093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9167, 4494441, 4497936, 4499164, 4498206, 4499151, 4498206, 4494440, 4499154, 4499181, 4499179, 4499171, 4498206, 4498206, 449914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 ChakraCore :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Cloud, 게임엔진,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911,CVE-2019-0912,CVE-2019-0913,CVE-2019-0914,CVE-2019-0915,CVE-2019-0916,CVE-2019-0924,CVE-2019-0925,CVE-2019-0927,CVE-2019-093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945,CVE-2019-0946,CVE-2019-0947,CVE-2019-095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64561, 4464551, 4464567, 4464536, 446216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727)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8963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1.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9-0952)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9-0957,CVE-2019-095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0956)
- DID 취약점(CVE-2019-0949,CVE-2019-0950,CVE-2019-095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64564, 4464549, 4464573, 446455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2. Skyp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의 미흡한 설계(적절한 검증 부재)를 악용하여 제한된 자원에 접근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9-0932)
o 영향 : 정보노출
o 중요도 : 중요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3. ASP.NET Core, .NET 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켜 발생하는 서비스거부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9-0820,CVE-2019-0864,CVE-2019-0980,CVE-2019-0981,CVE-2019-0982)
o 영향 : 서비스거부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99409, 4498964, 4499167, 4499405, 4494440, 4499406, 4498961, 4499408, 4498963, 4499407, 4498962, 4495610, 4495611, 4495613, 4495616, 4495620, 4499154, 4499181, 449917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4. Team Foundation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보안 강화 업데이트
o 관련취약점 :
- 스푸핑 취약점(CVE-2019-0872)
o 영향 : 스푸핑
o 중요도 : 중요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5.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RT 8.1,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
-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9-26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97932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IT 알아보기] > 보안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Thrangrycat 취약점 주의 권고 (0) | 2019.05.21 |
---|---|
윈도우 RDP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1차) (0) | 2019.05.20 |
온라인 소스코드 저장소 보안 강화 권고 (0) | 2019.05.14 |
휴네시온 아이원넷(i-oneNet) 망연계 솔루션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05.13 |
보안이 취약한 SAP 시스템에 대한 공격기법 공개에 따른 보안 강화 권고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