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14종) o 등급 : 긴급(Critical) 5종, 중요(Important) 9종 o 발표일 : 2018.12.12.(수) o 업데이트 내용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 - 영문 :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 1. Windows 10, Server 2019, Server 2016, Edg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583,CVE-2018-8624,CVE-2018-8626,CVE-2018-8629)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599,CVE-2018-8611,CVE-2018-8639,CVE-2018-8641)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8-8612,CVE-2018-8649)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71321, 4471323, 4471327, 4471329, 4471324, 4471332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 Windows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626)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611,CVE-2018-864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71320, 4471322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611,CVE-2018-864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1330, 447132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 Windows RT 8.1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611,CVE-2018-864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22,CVE-2018- 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1320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611,CVE-2018-864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1318, 4471328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611,CVE-2018-8641)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477,CVE-2018-8514,CVE-2018-8595,CVE-2018-8596,CVE-2018-8639) - DID 취약점(ADV180029)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1325, 447131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625,CVE-2018-8643)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71318, 4470199, 4471320, 4470199, 4471321, 4471323, 4471327, 4471329, 4471324, 4471332, 4471330, 4470199, 4471325, 447019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 ChakraCore :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Cloud, 게임엔진,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583,CVE-2018-8624)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587,CVE-2018-8597,CVE-2018-862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598,CVE-2018-862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61544, 4461576, 4461556, 4461565, 4461577, 4461542, 4461559, 4461570, 4461569, 4461566, 4011207, 4461521, 4461481, 2965312, 2597975, 4461551, 4461532, 4011027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상승 취약점(CVE-2018-8599) o 영향 : 권한상승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6951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1. SharePoint Server,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628) - 정보노출 취약점(CVE-2018-858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61541, 4461549, 4461580, 4092472, 4461548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2.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NW/시스템 접근에 필요한 특정값을 탈취하거나 변조를 통해 접근제어를 우회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스푸핑 취약점(CVE-2018-8604) o 영향 : 스푸핑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번호 - 446874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3. .NET Cor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8540) -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8-8517)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70641, 4470600, 4470630, 4470602, 4470629, 4470601, 4471321, 4471327, 4471329, 4471324, 4470502, 4470637, 4470493, 4470622, 4470491, 4470623, 4470492, 4470637, 4470500, 4470640, 4470500, 4471102, 4470633, 4470639, 4470499, 4470630, 4470499, 4470638, 4470498, 447132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4.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RT 8.1,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 -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8-42,APSB18-44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477029, 447133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
'[IT 알아보기] > 보안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EhostICT] Moxa ThingsPro 2 Series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9.02.08 |
---|---|
[EhostICT] 유비쿼티 제품 DDoS 증폭 공격 악용 가능 취약점 주의 권고 (0) | 2019.02.08 |
Apache Struts 2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주의 권고 (0) | 2018.11.09 |
MS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8.06.28 |
Cisco 제품군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18.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