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T 2

[IT 기본학습] 현금 없는 사회 본격 도래하다! 간편 결제 서비스 시장과 기술,서비스 본격 비교하기

서울특별시에서는 올해 3월부터 ‘현금 없는 버스’를 확대 시행 중입니다.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지폐와 동전들은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는데요. 실물 카드의 활용을 넘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QR 코드 등을 통해 결제 활동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며 ‘현금 없는 사회’가 우리 눈 앞으로 성큼 다가오고 있습니다. ​ 그럼 오늘은 간편 결제 서비스들의 종류와 시장 현황, 다수의 기업들이 만든 페이 서비스들의 본격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 기술, MST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해당 기술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하여 보시고, 오늘 콘텐츠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 https://webzero.tistory.com/..

[IT 기본학습] 마그네틱 보안 전송 기술 (MST), 국내 간편 결제 서비스의 시대를 열다

최근 해외에서만 지원되던 애플페이를 국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이슈인 만큼 자연스럽게 다양한 간편결제 시스템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편 결제 방식 중 하나인 마그네틱 보안 전송 기술인 M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ST, 간편 결제의 시대를 열다. 국내에 '~페이'라고 불리는 서비스들이 우후죽순 쏟아지는 이유가 바로 이 간편 결제 기술의 보편화의 영향인데요. 이 시작은 2015년에 출시된 삼성페이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삼성페이는 일반 결제 단말기에서 비접촉 결제가 가능한 MST 기술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갔습니다. 실물 카드를 모바일로 옮긴 덕에 지갑을 소지하지 않고도 손쉽게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에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