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폐처럼 탁월한 성능의 `가스센서` 개발…미세먼지 주범 실시간 관측 DGIST, 그래핀-금속유기구조체 센서 개발 이산화질소를 10억분의 1수준 초저농도 관측 사람의 폐를 모방해 미세먼지 주범인 이산화질소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권혁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10억분의 1 수준의 초저농도 이산화질소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그래핀-금속유기구조체 하이브리드 가스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주범 중 하나인 이산화질소는 심혈관계 질환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치명적 물질이다. 이산화질소를 관리하기 위해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개발이 중요하다. 낮은 농도에서도 측정이 가능한지, 검출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등이 ..